[패션의류/잡화]시력변화의 원인과 해결법

우리가 생활함에 있어서 눈은 신체의 건강과 함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일을 하다가 혹은 아침에 갑자기 나타나는 시력저하로 불편을 겪은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일시적인 시력저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ettyImages-a10698447.jpg

시력저하의 원인을 알아보기

 

갑작스런 시력저하 원인은?

 

안구건조증 

먼저 일시적인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원인은 바로 안구건조증 입니다. 안구건조증으로 인해 시력의 질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건조증이 있는 경우 안구에 눈물이 부족하여 표면이 마르면서 시야가 흐리게 보이고 뿌옇게 보여 시력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증상이 있을 때마다 일회용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점안함으로써 시야가 깨끗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GettyImages-a11254283.jpg

피로가 누적되면서 근시를 유발해요.

 

눈의 피로감 

요즘은 스마트폰, TV, 태블릿PC, 컴퓨터의 보급화로 인해 생활패턴이 변화하면서 생활 속 근거리 작업량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우리의 눈은 쉴 새 없이 일을 하게 되고, 점차 피로가 누적되면서 근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가지에 집중하게 되면 눈의 깜빡임 횟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안구표면이 마르면서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켜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알레르기성 결막염, 유행성 결막염, 콘택트렌즈 부작용으로 인한 각막염 등의 각종 질병으로 갑자기 시력저하가 나타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눈병들은 일시적으로 시력을 떨어트려 시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증상을 방치할 경우 영구적인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상이 느껴지면 안과에서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도 추천해드립니다.

 

GettyImages-a7369591.jpg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안구 운동을 해주세요.

 

일시적 시력변화 해결법

 

적절한 휴식과 관리 

근거리 작업을 50분 정도 했다면 10분 정도는 눈을 감고 피로를 풀어주거나 먼 산을 보면서 조절력에 연관된 눈 주변의 근육 등의 휴식을 주어야 합니다. 특히 눈을 감은 채로 안구를 위, 아래, 좌, 우로 굴려주면서 안구운동을 병행한다면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여 주는 것이 좋은데요. 윗 눈꺼풀과 아랫 눈꺼풀이 서로 완전히 맞닿을 수 있도록 눈을 깜빡여 주어 눈의 표면에 눈물이 고르게 발릴 수 있도록 하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러 건조한 증상을 느낄 경우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점안하거나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면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합니다.

 

GettyImages-86529933.jpg

연령에 따른 시력변화는?

 

연령에 따른 시력변화

 

인체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한다면, 가장 번번한 원인은 연령을 꼽을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에 성장과 젋음의 기쁨을 만끽하다가 어느덧 중년기에는 노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나이 들어감에 따른 신체의 변화를 거스를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누군가 신체 나이에 비해 젋어 보인다면 운동이나 식단 조절 등으로 건강 관리를 장기간 지속한 결과입니다.

 

청소년기와 중년기의 중간 연령대인 성인기에서는 눈도수와 시력이 거의 고정된 값을 보입니다. 한국의 경우 20세 이전 대부분이 근시진행에 의해 시력변화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40이상 연령의 성인인 경우 조절력 저하라는 노안 증상에 자각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근거리 시력 뿐만 아니라 원거리 시력도 달라지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조절력의 급격한 감소에 비해서 빈도과 강도는 모두 낮은 수준이지만 눈도수 자체도 조금씩 변함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즉, 연령에 따른 시력변화의 원인은 조절력과 폭주력, 누도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GettyImages-a7374663.jpg

시각이란 무엇일까?

 

 

서로 다른 두 점이 눈의 광학적 중심과 연결되어 이루는 각을 시각이라고 하며 그 중 눈이 두점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각을 최소시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시력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굴절이상, 그 밖의 안질환으로 저하되지만 이외에도 시표의 밝기, 배경과의 대조 등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 시력이 떨어지는 이유인 굴절이상은 근시, 난시, 원시 종류가 있는데요. 근시는 안구 앞 뒤 길이가 정상안구보다 길어 망막 앞쪽에 상이 맺히는 것으로 멀리있는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원시는 안구앞뒤 길이가 정상안구보다 짧아 망막뒤쪽에 상이 맺히는 것으로 원시인 사람은 먼거리 물체는 잘 볼 수 있으나 어느 한계 이상 가까운 곳의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볼록렌즈로 교정가능합니다.

 

 

GettyImages-78425090.jpg

볼록렌즈를 이용해 교정해주세요.

 

​난시는 각막과 수정체의 수직, 수평의 불균등한 곡률때문에 망막에 초점이 정확히 맺히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체의 상이 2개로 나뉘어 보이는데요. 이 중에서 근시는 한번 발생하면 성인이 되어 눈의 성장이 끝날때까지 안구의 길이 계속 길어지면서 시력이 계쏙 나빠지게 되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성장기 아이들의 시력은 계속 변화하며 키가 갑자기 많이 성장한 시점에는 시력도 갑자기 많이 떨어진듯한 느낌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어린나이부터 시작된 근시는 성인이 될때까지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드림렌즈 착용등을 통해 근시진행을 어느정도 억제하는것이 좋습니다.

 

GettyImages-a10740068.jpg

꼭 안경을 착용시켜주세요.

 

유아기 

사람은 태어나면서 원시성인 눈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신생아때나 유아 일때는 몸집이 작고 안구가 작을수 밖에 없습니다. 간혹 원시량이 너무 많거나, 혹은 책을 너무 가까이서 읽거나 하는 아이들은 원시안경으로 성장기 동안 원시량을 줄여주기 위해 꼭 안경을 써줘야 합니다.

 

청소년기 

정상안, 근시안, 혹 원시안으로 변화를 합니다. 예전 청소년은 정시안이 많았다면 요즘은 안경을 끼는 학생들이 늘어났는데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게임등으로 대부분이 근시 진행을 하는 학생들이라고 합니다.

 

성인 

보통 키 성장이 멈추거나, 보통 20대 초반부터 시력변화가 멈추는 시기가 있는데요. 그 후로는 40대 까지는 시력변화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 혹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시는분들에게는 조절력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눈의 피로를 느끼시는 분도 종종 생깁니다. 그런분들은 조절완화, 감소를 위한 기능성 렌즈가 훨씬 눈을 편안하게 도와준다고 합니다.

 

 

GettyImages-200468027-001.jpg

생활습관에 맞춰 안정렌즈를 교체하세요.

 

노안 

40대 중반 부터는 슬슬 가까이가 안보이는 노안증상이 나타납니다. 안경을 벗거나 인상을 찌푸려야 가까이가 보이고 사물을 멀리 두고 봐야 잘 보이는데요. 노안이 오기 시작하면 돋보기, 중근거리, 근근거리 기능성 안경등 주시거리나 필요한 생활습관등에 맞춰 안경렌즈를 교체해주시면 됩니다.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첫 단계는 바로 눈에 관심을 갖는 것 입니다. 보고 인식하는 능력이 있음에도 우리는 우리가 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잘 의식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사람들은 눈에 감정과 압력을 담는데 이것이 시력문제를 유발합니다.

 

GettyImages-a11195756.jpg

우리의 중요한 '눈' 도 휴식이 필요해요.

 

 

때문에 눈으로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조금씩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또, 시력저하를 겪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안경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는 의존증을 일으켜 눈이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안경에 익숙해지는 것 입니다. 이는 오히려 시력을 잃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안경을 쓰는 것도 휴식이 필요합니다.  

 

 

노안은 눈이 건강할 때부터 꾸준히 관리를 해주면 최대한 눈의 노화를 늦추어 노안을 예방할 수 있고 올바른 생활습관 등을 통해서 건강하게 눈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눈의 시력저하가 나타나 일상생활의 불편함으로 고생하지 마시고 올바르고 꾸준한 관리로 아름다운 눈을 지켜보시길 바랍니다.

 

 

목록으로

최근 본 상품(0개)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른 표시

이곳 사이트 상의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개시일 또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