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말은 거의 매일 신게 되는데요. 세탁을 하다보면 양말에 구멍이 나있는 경우를 종종 만나게 됩니다. 못살던 시절에는 구멍난 양말을 헝겊으로 덧대어 꼬메 신곤했던 시절이있었죠? 그치만 요즘시대는 양말에 구멍이났다고 버리는 시대가 와버렸어요.
구멍난 양말 재활용하는법을 이용해보면 아주 좋게 쓰입니다. 구멍이 큰 경우에는 꿰메서 쓰기 난감한데요. 오늘은 못쓰는 양말 (구멍난 양말)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양말 재활용하는 방법 알아보기
구멍난 양말 활용법
1) 창문청소
못쓰는 양말 (구멍난 양말)을 손에 끼워주면 훌륭한 손걸레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창문이나 창틀 사이의 먼지를 훑어주시면 일반 걸레로 청소하는 것 보다 좁은 틈새 청소도 가능합니다.
2) 아이들 놀이
구멍이 나서 신을 수 없는 어른양말의 경우 아이들이 놀이할 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아이들이 놀이터 등에서 놀 때, 아이의 신발 위에 구멍난 어른 양말을 덧신겨주세요. 신발 안으로 모래가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서 아이가 뛰어놀기에 좋고, 모래의 성분들에 대해서도 걱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변기커버의 찬 기운을 막는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3) 변기커버
날씨가 추워지면 보온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됩니다. 특히 화장실의 경우 별도의 난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기커버를 별도로 씌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에도 못쓰는 양말 (구멍난 양말) 을 사용해보세요. 변기커버 양쪽에 양말 한쪽씩 씌어주시면 변기커버의 찬 기운을 막는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4) 바늘꽂이
반짇고리에 있는 바늘꽂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못쓰는 양말 (구멍난 양말) 을 활용해보세요. 구멍이 났지만 디자인이 예뻐서 버리기 아까운 양말이 있다면, 양말 안에 두꺼운 종이를 넣고 돌돌 예쁘게 날아주시면 멋진 반짇고리가 완성됩니다.
5) 여름용 양말로 변신
양말에 생기는 구멍을 보통 발가락쪽에 생기는것이 흔하다고 합니다.그럴때에는 그곳을 아예잘라놓고 여름용 양말로 발목만 신을수있도록 변신을 해주는것도 좋습니다.
아이들이 사용하기 쉬워지게 됩니다.
짝 없는 '양말 한짝' 놀라운 활용 Tip
손 작은 아이를 위해 비누망으로 활용
손이 작은 아이들에겐 비누가 커서 미끄러운데요. 얇은 양말에 비누를 넣어 입구를 고무줄로 묶어 욕실에 놔주시면 양말이 비누망 역할을 해 아이들이 사용하기 쉬워지게 됩니다.
끈적이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프라이팬 손잡이 끈적임 방지
짝 없는 양말은 부엌에서도 제 역할을 한답니다. 우선 프라이팬의 손잡이가 미끄럽다면 양말이 미끄러움을 어느정도 완화시켜 줍니다. 또한 양말은 뜨거운 손잡이로부터 여러분의 손을 보호하고, 조리시 음식물이나 기름이 튀어서 조리도구 손잡이가 끈적끈적 해지는 것을 막는 커버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 마사지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등과 발바닥 마사지 도구
제법 미끄러운 양말을 골라 그 속에 테니스공을 집어 넣고 입구를 묶으면 마사지 도구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미끄러운 양말 표면이 마찰을 줄여줘 허리 지압을 할 수 있고, 일어선 상태에서 테니스 공을 밟으면 족저근막염 예방을 위해 발바닥 마사지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여행갈때 악세서리 주머니
여행갈때 여러가지 악세사리와 주얼리를 어디에 보관해야 할지 망설이시는 분들이라면 못쓰는 양말 하나 가져가서 활용하시면 악세사리 흠집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경알의 흠집을 막고 보관에도 용이합니다.
선글래스 보관, 안경집
선글라스집이나 안경집이 없다면 두껍고 부드러운 양말에 넣어 보관하세요. 안경알의 흠집을 막고 보관에도 용이합니다.
오늘은 구멍난 양말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양말을 오래신다보면은 양말에 구멍이날수있는건 당연한일인데요. 구멍난 양말을 버리지 마시고 이제는 오늘 알아본 활용법을 참고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곳 사이트의 상품/판매자/쇼핑 정보, 콘텐츠, UI 등에 대한 무단 복제, 전송, 배포, 스크래핑 등의 행위는 저작권법, 콘텐츠산업 진흥법 등에 의하여 엄격히 금지됩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른 표시
이곳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곳은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곳 사이트 상의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개시일 또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