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번쯤은 갑자기 딸꾹질 증상을 겪어보셨을거에요. 보통 딸꾹질은 어느정도 하다가 멈추기는 하는데 일상생활 중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해서 빨리 사라지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요. 우리는 흔히 깜짝 놀라면 딸꾹질은 한다고 생각하지만 공포,충격,놀람 뿐 아니라 거식증, 정신분열에서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호흡할 때 사용되는 근육을 횡경막이라고 하는데 이게 갑자기 수축이 되면 성대로 들어오는 공기가 막히게 되면서 나타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금방 멈추지 않거나 빠른 시간내에 멈추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딸꾹질 멈추는법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ettyImages-86533829.jpg

딸꾹질 멈추는 방법 알아보기

 

딸꾹질의 원인?

 

딸꾹질의 원인은 횡격막의 경련 때문인데, 횡격막이란 가슴을 구성하는 흉곽 내에 허파 조직에 공기를 집어넣고 빼는데 도움을 주는 인체 조직을 말합니다. 횡격막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경련 증상을 보이게 되면 바로 그 작용으로 딸꾹질을 하게 되는 것인데요. 경련이 멈추기까지는 본인의 의지로 멈출 수가 없습니다.

 

딸꾹질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수용체, 신경 관여하는 것으로 음식을 먹거나 공기를 많이 섭취해서 위장이 팽창되어 딸꾹질이 생길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GettyImages-jv11346824.jpg

딸꾹질, 이유는 무엇일까?

 

 

딸꾹질이 나는 경우는?

 

▶ 매운 것을 먹었을 때

 

▶ 음식을 다급히 먹었을 때

 

▶ 술을 마시고 있을 때

 

▶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있을 때

 

 

 

 

GettyImages-vs11147969.jpg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보세요.

 

 

딸꾹질 멈추는법

 

구역질하기

소화기내과 전문의들은 일부러 구역질을 하게 함으로써 딸꾹질을 멈출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딸꾹질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호흡과 횡격막 움직임의 균형을 맞추어주는 것이 구역질 유발을 통해 가능하다고 합니다.

혀 안쪽 날카롭지 않는 물건 예를 들면 숟가락 같은 걸로 웩 소리가 날 정도로만 자극을 해주면 딸꾹질이 멎는다고 하는데요. 물론, 보기에는 좋지 않겠지만 딸꾹질을 멈추는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숨참기


본인이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횡격막의 경련으로 인한 딸꾹질은 자연스레 사라지는데요. 하지만 급하게 이를 멈춰야 한다거나 신경이 많이 쓰일 때는 딸꾹질 멈추는법이 필요한데, 오늘 소개하는 방법이라면 실패하지 않고 다 한 번에도 딸꾹질 멈추는 것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딸꾹질을 멈추기 위하여 숨을 참는 방법을 사용하는데요. 숨을 참으면 산소를 흡입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혈관 내에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시적으로 높일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딸꾹질을 멈출 수 있습니다. 한 20초 정도 숨을 참으면 딸꾹질이 멈추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 숨을 참을 때는 숨을 최대한으로 크게 들이 마쉬고 20초간 숨을 참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실패할 확률이 높고 아이들에게는 마냥 숨을 참으라는 것이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GettyImages-a11081133.jpg

입안 가득 물을 머금어주세요.

 

물 마시기

 

역시 딸꾹질 멈추는법 중 많이 알려진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때, 그냥 물을 평범하게 마시는 것이 아니라 허리를 90도로 숙인 후에 물을 마셔주셔야 합니다. 입안 가득 물을 머금고는 집게손가락으로 코를 잡고는 끝까지 숨을 참았다가 조금씩 끊어서 물을 마시는 방법입니다. 이때 절대 코를 잡고 있는 집게손가락은 입안에 물을 다 마실 때까지는 풀어서는 안됩니다.

 

다른 대안으로는 종이봉투나 비닐봉지의 입구를 동그랗게 만들어 입에 갖다 대고는 외부의 공기는 전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호흡을 하는 방법인데요. 이 방법은 숨을 참지 않아도 되고 자신이 뱉은 이산화탄소를 다시 들이마시는 방법으로 자연스레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GettyImages-a10853393.jpg

코 속을 자극해보세요.

 

재채기 하기

휴지를 뾰족하게 말아서 코속을 자극해 재채기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서 횡경막을 자극해 딸꾹질이 멈추게 되기 때문입니다.

 

귀 만지기

 

20~25초간 귀를 막아주며 동시에 귓볼을 몇 초간 눌러줘도 좋은데요. 이를 통해서 가로막과 연결되어 있는 미쥬신경에 신호를 보낼수 있고 안정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GettyImages-78365545.jpg

다른 곳에 집중하면 딸꾹질을 멈출 수 있어요.

 

 

단맛, 신맛 나는 음식 먹기

 

꿀물, 설탕, 초콜릿 등 단것을 먹으면 단맛에 집중하게 되어 딸꾹질을 멈추게 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신맛이 나는 레몬 등을 섭취하게 되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얼음먹기

 

얼음물로 가글하는 것도 많은 의사들이 추천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녹여 먹어도 되지만 입에 무언갈 먹는것처럼 입안에서 오물오물 하듯이 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차가운 이것을 먹게되면 신경이 차가운 곳에 집중을 하게 만들어 멈추게 해주는 것인데요.

 

이때 너무 큰 아이스를 먹는 것은 치아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잘게 간 것을 녹여서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가 약하거나 시려서 이 방법이 어려우신 분들은 대신 봉지에 담아 뒷목에 올려주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GettyImages-jv11342513.jpg

이런 행동은 절대 주의하세요.

 

한가지 중요한 주의사항

 

딸꾹질을 멈추게 한다고 사람을 갑자기 놀래키는 것은 무척이나 위험한 행동으로, 노약자나 약한 어린이들에게는 절대 금해야 할 것입니다.

 

 

GettyImages-86494542.jpg

아이가 놀라지 않게 해주세요.

 

아기 딸꾹질 멈추는 tip


우유나 모유를 마시면 포만감으로 인해 위가 팽창하고 횡격막을 자극하기 때문에 딸꾹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는 수유가 끝난 아이를 안고 허리를 가볍게 두드려 주는 것으로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자연스럽게 트림도 유발하고 미주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함께 가져옵니다. 너무 세게 두드릴 경우 아이가 놀랄 수 있으니 살살 두드려 주셔야 합니다

 

기저귀에 대소변을 봤을 때 바로바로 교환해 주시는 것도 아기 딸꾹질 멈추는법 중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기의 몸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축축한 기저귀로 인해 몸의 체온이 떨어지면서 몸의 신경들이 민감하게 변하게 됩니다. 신경과 함께 횡격막 또한 민감해지면서 쉽게 자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저귀뿐 아니라 아기의 체온 변화에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또한 신기한 방법이지만 아기 귀를 만져주는 것으로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귀에는 횡격막과 관련된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자극해 줌으로써 자연스럽게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너무 세게 문지른다면 귀에 자극이 갈 수 있으니 살살 문질러 주시도록 유의하셔야 합니다.

 

GettyImages-86524888.jpg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주세요.

 

 

아기의 몸은 아직 신경들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크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딸꾹질이 잘 나오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죠. 하지만 딸꾹질이 멈추지 않고 며칠 동안 계속된다면 간, 식도, 위장질환의 증상일 수 있으니 심한 경우 진찰을 통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딸꾹질의 원인과 멈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 같은 방법을 썼는데도 딸꾹질이 안 멈춘다 하시는 분들은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봐야 합니다. 딸꾹질은 위식도 염류염, 늑막염, 횡경막, 식도, 폐에 감염이나 종양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목록으로

최근 본 상품(0개)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른 표시

이곳 사이트 상의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개시일 또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