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묵은 쌀 냄새제거 방법

우연히 쌀통을 열었다가 쾌쾌한 냄새로 당황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냄새가 나면 거부감을 줄 뿐 아니라 섭취할때도 찝찝한 기분은 어쩔 수 없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묵은쌀냄새 제거하는 하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38257b1-0aa4-465e-8fb8-8097d88671f8.jpg

묵은쌀냄새 제거하는 하는 방법 알아보기

 

묵은쌀냄새 제거 방법으로는 식초를 활용하시면 되는데요. 식초를 한 방울 떨어뜨린 물에 쌀을 담갔다가 씻어서 물기를 빼놓습니다. 그리고 반나절 후 밥을 지을 때 한 번 더 미지근한 물로 헹궈 주신 후 밥을 지으시면 냄새가 말끔하게 제거됩니다.

 

 

82f4c5ae-40ba-4678-85d8-581f6d8fcad9.jpg

 

 

쌀벌레 생기는 이유?

 

벌레가 번식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공기가 조성되었기 때문에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에 쌀벌레가 많이 생깁니다.

 

 

e665189a-8244-4db1-9b7c-9cbf6802e209.jpg

쌀 보관 방법은?

 

 

 

쌀 보관법


수분이 많은 곳을 피합니다.


서늘한 곳에 보관합니다.


햇빛을 피해줍니다.


항아리에 넣으면 통기가 잘 됩니다.

 

 

8ef14013-879a-4790-8cb7-83fedc35d459.jpg

묵은쌀  맛있게 밥 짖는방법 알아보기

 

 

묵은쌀  맛있게 밥 짖는방법

 

* 충분하게 쌀 불리기

묵은쌀은 햅쌀보다 수분함량이 적어서 건조합니다. 그래서 여름에 밥을 지을 때는 30~40분 정도, 겨울에는 30분~1시간 정도 충분하게 불려서 밥을 지어야 합니다.

 

GettyImages-a11051009.jpg

유지방 성분으로 인해 밥이 하얗게 변해요

 

* 우유를 사용

묵은쌀을 충분하게 불린 후에 물과 우유를 4:1 비율로 밥을 지으면 우유 고유의 향이 군내를 잡고 우유에 풍부한 칼슘, 단백질 등으로 인해 영양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유의 유지방 성분으로 인해 밥이 하얗게 변해 윤기나는 밥을 먹을 수 있습니다.

 

 

GettyImages-jv10971397.jpg

식용유 한 스푼을 넣어주세요

 

​* 식용유 사용

맛있게 묵은쌀 밥짓기 때 식용유 한 스푼을 넣어서 지으면 윤기 있는 밥을 지을 수 있습니다. 식용유를 넣어서 밥을 지으면 탄수화물 분해를 도와서 당뇨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소한 밥을 짓고 싶을 때는 참기름을 한방울 넣는다면 밥 향도 좋고 참기름의 고소한 맛이 나는 밥을 만들 수 있습니다.

 

 

GettyImages-a9875337.jpg

신진대사를 도와서 혈액순환이 활발해져요


* 다시마

국물 육수낼 때 사용하는 다시마를 밥 지을 때 세조각 정도 넣어서 밥을 지으면 다시마의 향과 짭짤한 맛이 더해서 묵은쌀 냄새가 제거되고 햅쌀처럼 맛있는 밥이 완성됩니다. 다시마에는 칼슘성분과 각종 미네랄이 신진대사를 도와서 혈액순환이 활발해집니다.


* 밥물 양 조절

묵은쌀 밥짓는법 따라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물 조절입니다. 햅쌀을 밥할 때는 쌀 분량의 1.2배가 적당하며 묵은쌀은 1.5배로 물을 넣어서 밥을 지어야 맛있는 밥이 됩니다.

 

 

b87d063e-6951-499f-bb06-1c101f5da4b6.jpg

윤기 흐르는 밥 만드는 방법


* 청주 사용

알코올 성분인 청주는 열을 가하면 묵은 쌀의 잡내를 없애주기 때문에 청주를 4~5 방울 넣어서 밥을 하면 윤기가 좌르르 흐르고 밥맛이 좋습니다.

 

 

아직은 못 먹고 사는 사람들도 있는 세상이기에 음식을 함부로 버리는 건 안되겠죠? 묵은쌀냄새난다고 버리지 마시고 깨끗하게 제거하여 맛있게 드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최근 본 상품(0개)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른 표시

이곳 사이트 상의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개시일 또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