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지라는 게 알게 모르게 우리 가정에 정말 많은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각종 리모컨, 현관 도어록, 시계, 무선 마우스 그리고, 아이들이 있는 집에는 각종 작동완구에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구입할 때도, 망설여지는게 건전지입니다.
많은 곳에 쓰이는 '건전지'
소량 포장되어있는 건전지는 대량 포장의 그것보다 개당 단가가 많이 높아지죠. 하지만, 많이 사놓으면, 보관하면서 방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에 사기가 망설여지죠.
또 많이 사놓으면, 어디 있는지 잘 기억도 나지 않고, 하여, 구입 시 선택 장애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건전지도 보관만 잘 한다면, 훨씬 오래 쓸 수 있습니다. 건전지 오래쓰는 법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건전지 오래쓰는 법 알아보기
건전지 오래쓰는 방법
다 쓴 건전지 다시 보자
마른 걸레도 짜낸다는 말이 있죠. 과거 회사들이 경비 절감할 때 많이 썼던 말입니다. 건전지도 다 썼다고 보일 때, 마지막 수명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건전지는 그 내부에 산성의 물질과 금속물질로 구성되어있는데요.
이 두 물질이 어떤 화학작용을 통하여 전기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다 쓴 건전지를 다시 화학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충격을 주면, 멈췄던 전기가 다시 조금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TV 리모컨을 사용하다, 건전지 수명이 다했을 때, 미리 사놓은 건전지가 없다면, 일시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물과 직사광선을 멀리해주세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건전지 보관법
새 건전지가 아니고요. 어쩌다 한 번씩 사용하는 건전지가 들어가는 제품들이 있죠. 특히, 아이들 작동완구 같은 거요. 항상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라면, 해당사항이 없지만, 어쩌다 한 번씩 사용하는 장난감들이 많으실 겁니다. 건전지를 그냥 끼워놓으면, 사용하지도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 그대로 방전이 됩니다.
저번에 새 건전지를 넣어놓고, 한 번 사용했는데, 다음에 사용하려고 보니, 작동이 안 되는 경우 경험하셨을 겁니다. 이런 경우는 사용할 때마다 건전지를 끼워서 쓰시고, 사용 후 건전지를 꺼내서 보관을 별도로 하시면, 오래 쓰실 수 있습니다. 이때, 건전지 보관할 때 팁이 하나 있는데요.
꺼낸 건전지를 공기를 뺀 비닐봉지 또는 가정 내 있는 랩으로 싸서 냉장보관해주세요. 가장 오래 쓸 수 있는 보관방법입니다. 그리고, 물과 직사광선을 멀리해주세요.
보관할 때 음극과 양극을 나란히 정렬해 주세요.
새 건전지 보관법
사용 중의 것이든 새것이든 오래 쓸 수 있는 보관법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새 건전지도 비닐봉지에 넣어 공기를 다 빼주시던지,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해주시면 됩니다. 적당히 차가울 때 건전지의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건전지 오래 쓰는 법 중 가장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사용할 때는 반대로 적당히 온도가 높아야 효율이 좋다고 하네요. 그리고, 보관할 때 음극과 양극을 나란히 정렬해 주세요. 방전을 막는 방법입니다.
교체할 때 한꺼번에 해주세요
건전지 교체 방법
보통 건전지 교체할 때 적게는 2개 많게는 8개까지 교체할 경우가 생깁니다. 교체할 때 한꺼번에 해주세요. 사용하던 것과 새 건전지를 동시에 사용하면, 새 건전지의 수명이 짧아진다고 합니다.
제조 날짜를 확인해서 구매하세요.
건전지 구매할 때
건전지 오래 쓰는 법 중 가장 소소한 팁일 수도 있겠습니다. 우리가 마트에서 장을 볼 때, 우유나 치즈 등 신선식품의 경우 유통기한을 꼭 확인하고 구매하시잖아요. 건전지 유통기한 확인하고 사시는 분 계시나요? 당연히 없겠죠. 하지만, 건전지는 유통기한이 중요하지 않지만, 제조 날짜를 확인해서 구매를 하시면 조금이나마 오래 쓸 수 있는 방법이겠습니다.
건전지 보관함에 버려주세요.
건전지 버리는 방법
건전지는 화학물질이여서 그냥 버리면 좋지 않습니다. 요새는 건전지 보관함이 따로 있기 때문에 아무대나 버리지 마시고 건전지 보관함에 버리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오늘은 건전지 오래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조금만 신경쓰고, 건전지 사용이나 보관을 잘 하신다면 우리 가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곳 사이트의 상품/판매자/쇼핑 정보, 콘텐츠, UI 등에 대한 무단 복제, 전송, 배포, 스크래핑 등의 행위는 저작권법, 콘텐츠산업 진흥법 등에 의하여 엄격히 금지됩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른 표시
이곳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곳은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곳 사이트 상의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개시일 또는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